새해가 시작되고 조금 있으면 명절인 음력설날이 다가옵니다. 설날이 지나고 음력 1월 15일이되면 정월대보름이라고 합니다. 정월대보름은 한해의 첫 보름이자 보름달이 뜨는 날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우리나라의 명절이기도 합니다. 이 날은 우리 세시풍속에서는 가장 중요한 날로 설날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에서는 보름달이 가지는 뜻이 아주 강합니다. 정월대보름과 큰명절중 하나인 추석의 보름날도 그렇습니다. 대보름날의 뜻을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우리 문화의 상징적인 면에서 보면 그것은 달-여신-대지의 음성원리 또는 풍요원리를 기본으로 하였던 것이라 하겠습니다.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
정월 대보름에는 절식으로서 약밥, 오곡밥, 묵은나물과 볶쌈, 부럼, 귀밝이술등을 먹었습니다.
1. 오곡밥 - 5가지 오곡으로 만드는 밥입니다. 찹쌀, 팥, 조, 맵쌀, 수수, 밤,그리고 소금이 필요합니다. 곡류는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넣어서 지어도 됩니다. 찹쌀, 맵쌀, 수수, 조는 깨끗이 씻어서 1시간정도 불려줍니다. 팥을 깨끗이 씻어서 넉넉히 물을 붓고 팔팔끓기시작하면 첫물은 버려줍니다. 첫물을 버리는 이유는 팥의 첫물을 먹으면 배앓이를 할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팥양의 5배의 물을 붓고 끓으면 중불에서 끓여줍니다. 팥알이 터지지 않을 정도로 삻아줍니다. 손으로 으깨보았을때 잘 으깨지면 된것입니다. 밭물에 소근으로 간을 해주고 솥에 불린 잡곡과 삻은 밭을 넣고 깍은 밤을 넣은 다음 압력밥솥에 잡곡모드로 놓고 밥을 지어주면 맛있는 오곡밥이 완성됩니다.
2. 나물반찬 - 정월 대보름 나물반찬으로는 생나물 대신 말린 묵나물을 사용합니다. 대표적으로 고사리, 시래기, 건취나물등이 있습니다. 부드러운 식감을 내기 위해서는 건취나물삶기와 불려서 볶기를 잘 해야 합니다. 겨울철 먹기 위해 바싹 말린 나물은 충분히 불리고 삻아야 부드럽게 먹을 수 있습니다. 보통 묵나물등 나물볶음을 하기 위해서는 전날 밤에 물에 담가두는것이 좋습니다. 최소 1시간 이상 불려서 삶아야 합니다. 대표적인 나물로는 취나물, 시래기나물, 호박고지나물, 등이 있습니다.
3. 부럼 - 정월 대보름날 이른 아침에 한 해 동안의 각종 부스럼을 예방하고 이를 튼튼하게 하려는 뜻으로 날밤, 호두, 은행, 잣 등 견과류를 어금니로 깨무는 풍속, 다른말로 부스럼 또는 부럼깨물기라고도 하는데 부럼먹는다라고 말합니다. 이로 깨어 먹는 견과류를 일반적으로 부럼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4. 귀밝이술 - 정월 대보름날 아침 식전에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는 술로 이명주라고도 합니다. 귀밝이술은 데우지 않고 차게 마시는 것이 특징이며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술을 못마시는 사람도 누구나 한잔씩 마셨다는 유래가 있습니다. 귀밝이술을 마시면 일년동안 귀가 밝아지고 좋은 소식을 듣게 된다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