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이란 심폐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멎었을때 사용하는 응급처치입니다. 심정지환자가 발생할경우에는 4분안에 심폐소생술을 진행해야 합니다. 심정지환자가 있을때 심폐소생술을 하면 환자의 혈액순환을 도우며 뇌 손상을 조금이라도 늦출수 있습니다. 또한 심폐소생술을 바로 시행하면 환자의 생존율을 최대 3.3배까지 높일 수 있으며 뇌 기능 회복률은 최대 6.2배까지 높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누구나 위기, 응급상황에 처할수 있기 때문에 응급처치인 심폐소생술 하는방법을 배우는것이 좋습니다.
심폐소생술 순서
1. 환자를 응급처치로 도와주는것도 중요하지만 응급처치를 위해 도움을 주는 사람의 안전을 확보하여 2차사고의 위험을 예방합니다.
2. 첫번째 환자가 의식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환자에게 큰소리로 괜찮으세요? 라고 물어보아 의식이 있는지 확인합니다.또 양어깨를 손바닥으로 가볍게 두드리거나 꼬집어 의식확인을 합니다. 외상이 의심될 경우에는 몸을 절대로 흔들지 말고 경추나 척추를 다쳤을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합니다.
3. 두번째 의식이 없다면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119에 신고를 부탁하도록 합니다. 119신고를 부탁할때는 주변에 있는 사람중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정확하게 지목하여 줍니다. 또한 자동심장충격기가 배치되어있는 지하철, 공공장소의 경우 자동심장충격기를 가지고 오도록 지목하여 말합니다.
4. 세번째 심폐소생술을 시작합니다. 가슴중앙에서 약 5CM깊이로 들어갈 수 있도록 압박을 실시합니다. 분단 100 ~ 120회 실시할수 있는 속도로 강하고 빠르게 30회를 실시합니다. 심폐소생술을 할때는 한쪽손을 쫙펴고 다른 손으로 손등으로 깍지를 감싸준 후 환자가슴중앙에서 팔꿈치를 쫙펴서 팔과 몸으로 눌러주면 좋습니다. 또한 압박할때는 '하나''둘''셋' 숫자를 세어가면서 규칙적으로 시행해주는것이 좋습니다.
5. 네번째 자동심장충격기가 있다면 제세동을 시행하고 그후에 다시 가슴압박을 시행하도록 합니다.
6. 다섯번째 119가 올때까지 압박을 반복하여 주도록 합니다.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방법
(1)자동심장충격기(AED)의 전원을 켭니다. 자동심장충격기는 반응과 정상적인 호흡이 없는 심정지 환자에게만 사용하도록 합니다.
(2) 자동심장충격기(AED)의 두개의 패드를 부착하여 줍니다. 두개의 패드 중 한 패드를 오른쪽 쇄골아래에 부착하여 다른 패드는 왼쪽 젖꽂지 아래의 겨드랑이 중앙선에 부착하도록 합니다.
(3) 자동심장충격기(AED)가 심정지 환자의 심전도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동안에 환자와 접촉하지 않도록 합니다.
(4)심장충격이 필요할 경우 '심장충격이 필요합니다'라는 음성지시와 함께 심장충격기가 스스로 충전하게 됩니다. 충전완료후 심장충격버튼을 누르세요라는 음성지시가 나올때 주변에 사람들이 환자와 접촉하지 못하게 한후 심장충격버튼을 누릅니다.
(5) 심장충격시행후 심폐소생술을 즉시 다시 시행합니다.
- 자동심장충격기(AED)위치찾기 앱이나 인터넷을 통하여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 예방에 좋은 음식 /치매예방을 위한 생활수칙 (0) | 2023.02.28 |
---|---|
화상을 입었을때 응급처치 방법 (0) | 2023.02.28 |
전염성이 있는 장염의 종류 / 장염에 좋은 음식 (1) | 2023.02.22 |
골밀도를 높이는 방법/ 골밀도를 높이는데 좋은 음식 (0) | 2023.02.16 |
무릎 연골 관리 하는 방법 / 무릎 연골에 좋은 음식 (0) | 2023.02.13 |
댓글